[앵커] <br />북한이 1년 넘게 억류했던 미국 대학생을 혼수상태인 채로 석방했습니다. <br /><br />미국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에서 다시금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석방 협상을 위해 미국이 북핵 6자회담 대표를 전격적으로 평양에 보내 앞으로 북미 관계 상황이 주목됩니다. <br /><br />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하게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이선아 기자!<br /><br />북한이 미국인을 억류했다가 풀어주기를 반복하는데, 이른바 '인질외교'라고 하지 않습니까?<br /><br />이번에도 그런 상황이라고 봐야 하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일단은 그렇게 볼 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예전에도 억류자 석방을 통해 대외 관계 활로를 만들거나 북미 대화를 위한 계기로 삼아 왔습니다.<br /><br />2차 핵실험으로 비판 목소리가 높았던 2009년 8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방북을 유도했고, 결국 억류돼있던 미국인 기자 둘을 석방했고요.<br /><br />또 2014년에는 제임스 클래퍼 당시 미국 국가정보국장의 방북을 계기로 북한이 미국인 억류자 둘을 석방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역루됐다 풀려난 웜비어는 미 버지니아 주립대 3학년으로 지난해 1월에 관광차 방문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에 가서 평양 양각도 호텔에서 정치선전물을 훔치려 한 혐의로 체포가 됐고 같은 해 3월에 체제 전복이라는 혐의로 15년이라는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미국 정부가 전격적으로 석방 사실을 알렸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그런데 지금 북미가 대화 창구가 모두 끊긴 상태 아니겠습니까? 그런데 혼수상태로 깨어나지 않는 웜비어 씨를 석방했다.<br /><br />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요?<br /><br />[기자] <br />말씀하신 대로 이번에 웜비어가 혼수상태로 풀려났고 또 왜 그런 상태가 됐는지 설명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이것이 북미 관계에 과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 미지수인데요.<br /><br />미국 내 여론은 일단 석방됐다는 자체보다는 억류됐던 미국인이 어떤 이유인지도 모른 채 극단적으로 악화된 몸상태로 풀려났다는 사실에 주목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.<br /><br />또 최근 가뜩이나 북한 인권 탄압 실태가 국제사회의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데 여기에서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더욱 문제제기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이런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그런데 이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현직 당국자가 북한에 갔다는 것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61413095445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